부가가치세 신고 이후 관리 포인트 5가지!
세무법인 엑스퍼트
- 작성일2025년 03월 14일
부가세 신고 후 가장 중요한 건 ‘제때 납부’하는 것!
✔ 신고만 하고 납부를 안 하면 무신고 가산세 + 납부지연 가산세 발생
✔ 기한을 넘기면 하루 단위로 이자가 붙으니 꼭 기한 내 납부!
2️⃣ 가산세 여부 점검하기! (잘못 신고한 부분 체크)
혹시 신고하면서 실수한 부분은 없는지 점검해야 합니다!
✔ 매출 누락 (거래를 빠뜨려 신고 안 한 경우)
✔ 매입세액 공제 과다 적용 (공제 안 되는 비용을 포함한 경우)
✔ 세금계산서 발급 오류 (늦게 발급하거나, 잘못된 내용으로 발행)
3️⃣ 매입·매출 세금계산서 보관 & 확인!
부가세 신고 후에도 세금계산서를 제대로 보관해야 합니다!
✔ 신고한 내역과 실제 매출·매입 세금계산서 내역이 맞는지 점검
✔ 국세청 홈택스에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내역 다시 확인하기
매입세액 공제받은 세금계산서 중 사업 관련 없는 항목이 없는지
폐업한 거래처와 거래한 세금계산서가 있는지
수기 세금계산서(종이발행)는 잘 보관하고 있는지
4️⃣ 예정신고 & 기납부세액 활용 (다음 신고 대비하기)
다음 부가세 신고 시 낼 세금 미리 예측하세요!
✔ 이번 신고에서 기납부세액(미리 낸 세금)이 있다면 다음 신고에서 공제 가능
✔ 법인 사업자는 4월과 10월 예정신고도 대비해야 함!
1월·7월 부가세 신고 후, 3개월 동안의 부가세 예상 금액 체크
예정신고 대상(법인사업자 등)이라면 4월·10월 납부 대비
기납부세액(예정신고에서 낸 세금)이 있다면 확정신고 시 공제 가능
5️⃣ 환급금 확인 & 조기환급 신청!
이번 신고에서 환급받을 금액이 있다면 빨리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!
✔ 매입세액이 많아서 부가세를 환급받을 경우 홈택스에서 환급신청 필수!
✔ 환급금 지급일은 신고 마감일 기준 30일 이내 (빠르면 2~3주 안에 지급)
수출업체 (매출은 면세, 매입은 과세)
고정자산(설비, 차량 등) 대량 구입
사업 초기에 매입이 많고 매출이 적을 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