OEM 제조업, 도소매업과 뭐가 다를까?사업자 등록과 세액감면 핵심 정리
 세무법인 엑스퍼트 세무법인 엑스퍼트 
- 작성일2025년 09월 03일
박상현 세무사 (세무법인 엑스퍼트 동탄 제조업센터)
★ OEM은 도소매업이 아닌 ‘제조업’일 수 있습니다
✔ 많은 온라인 셀러들이 자체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 **OEM(주문자상표부착생산)**을 활용합니다.
✔ 그런데! 이때 사업자 등록을 도소매로 해야 할지, 제조업으로 해야 할지 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.
OEM이 제조업으로 인정받기 위한 4가지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:
1️⃣ 생산할 제품을 직접 기획하고
2️⃣ 자기 계정으로 원재료를 구입하며
3️⃣ 위탁업체에 제공해 생산하고
4️⃣ 자기 책임 하에 최종 판매하는 구조일 것
→ 이 요건을 충족한다면 제조업 업종코드로 등록 가능합니다.
★ OEM도 창업 중소기업 세액감면 받을 수 있다!
(단, 국내 제조 계약일 경우만 해당)
✔ 창업 중소기업 세액감면 제도란?
→ 창업 후 일정 요건 충족 시 5년간 소득세 또는 법인세를 50~100% 감면해주는 제도입니다.
✔ 도소매업은 대상 ❌
✔ 제조업은 대상 ⭕ (단, 조건 있음)
세액감면 조건 중 OEM 사업자가 유의할 점:
☑ OEM 제조는 국내 또는 개성공단 소재 제조업체와 계약한 경우에만 해당
☑ 해외(중국 등) 업체와 계약한 경우 감면 대상 제외
★ 업종코드 분류 ≠ 세법상 혜택
꼭 전문가 상담을 거쳐야 합니다!
☑ OEM 제조업이라고 등록하더라도, 실제 세액감면 적용은 별도 판단이 필요합니다.
☑ ‘제조업’이라는 명칭만으로 세제혜택을 자동으로 받는 것은 아닙니다.
☑ 반드시 조세특례제한법 요건 충족 여부를 검토해야 합니다.
⭐ 대표님의 사업에 맞는 전략이 필요합니다
OEM 방식을 활용해 브랜드를 키우고 싶다면, 아래 항목을 반드시 확인하세요:
✔ 사업자등록 시 제조업 업종 요건 충족 여부
✔ 창업 중소기업 세액감면 적용 가능성
✔ 계약 제조업체가 국내 소재인지 확인
→ 사전 진단 없이 진행하면 불필요한 추징세 또는 세액감면 누락 가능성 있음

 
✅ 세무법인 엑스퍼트 제조업센터는
3,000개 이상 중소기업 컨설팅 경험과
동탄지역 10년 누적 500개 기업 관리 노하우를 기반으로
제조업/스타트업의 올바른 업종 등록과 세액감면 전략을 설계해드립니다.
❇ OEM 브랜드 런칭, 절세는 전략입니다.
✔ 제조업 전환, 업종코드 변경, 세액감면 신청 등
처음부터 잘 설계하면 절세 효과는 수천만 원 단위로 갈릴 수 있습니다.
지금 전문가와 함께 전략을 세워보세요.
동탄 제조업센터 | 031-8015-0110
박상현 세무사 1:1 전문 세무상담 가능
- 제조업·IT
- OEM 제조업
 
			
		
 
		


 함께 읽으면
함께 읽으면


